반응형
대학생도 가입되나? 군인은? 추천은행이 어디지? 나도 가입 조건에 맞나? 청년도약계좌!
문단 바로 앞에 [소제목] 붙여 놨으니 알고 싶은 정보만 쏙 보고 가세요!
청년도약계좌 신청 준비하면서 제가 모은 자료들을 포스팅해 봤어요!
청년도약계좌란?
- "월 70만 원씩 5년이면 최대 5000만 원 목돈마련"
-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이 목돈을 마련하고 미래를 준비해갈 수 있게 정부에서 만든 제도로 정부가 정책상으로 개설한 예금상품으로 생각하시면 돼요.
[혜택] 왜 좋나요?
- 청년도약계좌에 월마다 돈을 넣게 되면, 정부지원금과 은행 금리 이렇게 2개가 들어와요. 한마디로 은행에서는 이자를 주고 정부에서는 지원금을 주니까, 이자만 받는 예금보다는 훨씬 빨리 돈이 모여요.
- 보통 이자가 이자소득세(15.4%)를 내는 반면, 청년도약계좌를 통해 발생되는 이자는 비과세(세금 내지 않음)가 적용돼요. 이자로 100만 원 벌었다면, 원래 15만 4000원을 내야겠지만, 청년도약계좌는 0원을 내도 된다는 뜻이죠!
[월납입액] 꼭 70만 원씩 내야 하나요?
-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니에요. 청년도약계좌는 0원에서 70만원 사이의 금액을 여유가 되는 만큼만 넣을 수 있는 자유적립방식의 상품이에요.
- 물론 적게 넣으면, 정부지원금이 작아지고 이자가 붙는 금액도 낮아질 테니 혜택을 최대로 보시려면 많이 넣는 것이 유리해요!
[조건, 신청 자격] 가입대상자는 누구인가요?
청년도약계좌의 가입 조건은 2가지를 모두 만족해야 해요.
- 만 19세 ~ 34세의 청년
- 2004년생에서 1989년생이라고 보시면 편하실 거예요. 만 나이 계산은 생일에 따라 달라지니까 꼭 확인해 주세요!
- 군대에 다녀왔다면 다녀온 기간만큼은 빼준다고 하네요.(최대 6년). 88년생인데 군대를 1년 이상 갔다 왔다면 가입대상자예요^^ - 개인소득(6000만 원 이하), 가구소득(중위 180% 이하)
- 중위 180%은 대략적으로 1인 가구(374만 원), 2인가구(622만 원), 3인가구(798만 원), 4인가구(972만 원) 정도예요.
- 기준 금액은 세금을 떼기 전인, 세전 기준으로 해요
잠깐! 개인소득(6000만 원 초과 ~ 7500만 원 이하), 가구소득(중위 180% 이하)도 혜택이 있긴 있어요.
- 이자 비과세 혜택
- 정부지원금 못 받음
[군인, 무직자, 공무원, 대학생] 신분에 따른 가입 가능 여부
- 가입 가능: 공무원, 대학생이나 아르바이트생(고용보험 가입자만)
- 가입 불가: 군인, 무직자
[시행일, 신청 장소] 언제부터? 어디서? 신청 가능한가요?
청년도약계좌는 2023.06.15.(목요일)부터 신청할 수 있어요.
- 15일부터 21일까지는 5부제로 출생 연도 끝자리에 따라 신청할 수 있는 날이 다르니 참조하세요.
- 15일(목): 3, 8 예를 들어 1993년생 1998년생
- 16일(금): 4, 9
- 19일(월): 0, 5
- 20일(화): 1, 6
- 21일(수): 2, 7
- 22일(목) ~ 23일(금): 모두 가능
청년도약계좌의 신청장소는 은행에 직접 방문하시거나 은행 어플을 통해 신청하실 수 있어요.
- 은행은 총 12곳으로 NH농협, 신한, 우리, SC제일, 하나, IBK기업, KB국민, DGB대구, BNK부산, 광주, 전북, BNK경남이 있어요. SC제일은 내년 1월부터 청년도약계좌를 판매한다고 하니 참고해 주세요!
[추천 은행] 어디 은행이 유리한가요? 조건 비교?
청년도약계좌는 은행별로 이자 금액이 다른데, 조건에 따라 금액이 많이 차이 날 수도 있기 때문에 신중히 결정하셔야 해요. 아래 사이트는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사이트인데요. 들어가셔서 자신의 조건과 금리를 비교해 보고 자신에게 맞는 은행을 찾아보세요!
-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사이트
전국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
금융상품정보, 금리/수수료 비교공시, 금융서비스정보, 소비자정보, 금융교육, 보이스피싱정보
portal.kfb.or.kr
- 다른 조건 없이 기본금리만으로 추천하자면 4.5%로 기본 금리가 가장 높은 IBK기업은행을 추천드려요.
- 청년도약계좌, 주의사항
청년도약계좌는 1년마다 유지심사를 진행해요. 심사를 통해 소득 조건이 넘어버리면, 다음 1년 뒤 유지심사 때까지 정부기여금을 못 받을 수도 있으니 참조해 주세요!
반응형